프로그래밍/파이썬
[파이썬] 리스트
kastori
2022. 1. 10. 21:29
반응형
초기화
#1차원 리스트 초기화
>>> a = [0] * 5
>>> a
[0, 0, 0, 0, 0]
# R*C 크기의 2차원 리스트 초기화
>>> R = 5
>>> C = 10
>>> a = [[0]*C for _ in range(R)]
>>> a
[[0, 0, 0, 0, 0, 0, 0, 0, 0, 0],
[0, 0, 0, 0, 0, 0, 0, 0, 0, 0],
[0, 0, 0, 0, 0, 0, 0, 0, 0, 0],
[0, 0, 0, 0, 0, 0, 0, 0, 0, 0],
[0, 0, 0, 0, 0, 0, 0, 0, 0, 0]]
메서드
메서드 | 설명 | |
append(x) | 리스트에 원소맨 마지막에 추가 | |
sort() | 오름차순 정렬 | |
sort(reverse=True) | 내림차순 정렬 | |
reverse() | 원래 원소의 순서를 뒤집기 | |
insert(a, b) | 리스트이 a번째 위치에 b를 삽입 | |
count(x) | 리스트에서 x를 가지는 데이터의 개수 | |
remove(x) |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x를 삭제 |
사용예시
#리스트 생성
>>> a = [1, 2, 3]
#리스트에 요소 추가
>>> a.append(0)
>>> a
[1, 2, 3, 0]
#오름차순 정렬
>>> a.sort()
>>> a
[0, 1, 2, 3]
#내림차순 정렬
>>> a.sort(reverse=True)
>>> a
[3, 2, 1, 0]
#뒤집기
>>> a.reverse()
>>> a
[0, 1, 2, 3]
#0번째 인덱스에 9를 추가
>>> a.insert(0,9)
>>> a
[9, 0, 1, 2, 3]
#리스트에 0인 요소의 개수
>>> a.count(0)
1
#리스트에서 첫번째로 나오는 0을 삭제
>>> a.remove(0)
>>> a
[9, 1, 2, 3]
반응형